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설은 ▶ 부분부터 마우스 긁어서 보세요 ~

 

 

1. 임대를 목적으로 하는 공동주택과 관련이 없는 사항은?

 

① 입주자대표회의

② 전대제한

③ 매각제한

④ 임대조건의 신고

⑤ 용도변경, 개축, 증축 등의 제한

 

 

 

 

 

2. 임대주택법령상의 임대주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건설임대주택 및 매입임대주택으로 구분된다.

② 20세대 이상의 임대주택을건설하고자 할 때에는 임대주택법에 따른 사업계획승인을 얻어야 한다.

③ 임대주택은 임대의무기간이 경과하지 아니하면 이를 매각할 수 없다.

④ 임대주택의 임차인은 임대주택을 타인에게 전대할 수 없다.

 

 

 

 

 

 

3. 임대주택법에서 임대주택의 정의에 관하여 기술한 것이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임대주택은 임대목적에 제공되는 건설임대주택과 매입임대주택으로 정의한다.

② 매입임대주택은 임대사업자가 매매 등으로 소유권을 취득하여 임대하는 주택을 말한다.

③ 임대사업자가 국가, 지방자치단체, 대한주택공사,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주택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지방공사,

   주택임대사업을 하기 위하여 등록한 자 또는 임대주택조합을 말한다.

④ 건설임대주택은 임대사업자가 임대를 목적으로 건설하여 임대하는 주택을 말한다.

⑤ 건설임대주택은 사업계획승인을 받아 건설한 주택 중 사용검사 때까지 분양되지 아니한 주택으로서 임대사업자 등록을

    마치고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바에 따라 임대하는 주택을 말한다.

 

 

 

⑤ 

 

 

 

4. 임대주택법령상 임대주택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표준임대차계약서에는 임대료 및 임대보증금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② 임대사업자는 임차인으로부터 임대주택의 관리에 필요한 경비를 받을 수 있다.

③ 지방자치단체 및 대한주택공사는 주택을 건설함에 있어서 임대주택을 우선 건설하여야 한다.

④ 정부는 매년 예산의 범위 안에서 임대주택의 건설에 소요되는 자금을 세출예산에 계상하여야 한다.

⑤ 용어의 정의에서 임대주택은 임대목적에 제공되는 분양임대주택 및 부도임대주택을 말한다.

 

 

 

⑤ 

 

 

 

5. 임대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대주택이란 임대목적에 제공되는 건설임대주택 및 매입임대주택을 말한다.

② 임대사업자가 임대를 목적으로 건설하여 임대하는 주택은 건설임대주택이다.

③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으로 건설하는 임대주택은 공공건설임대주택이다.

④ 국민주택기금에 의한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하여 임대하는 주택은 국민건설임대주택이다.

⑤ 임대사업자가 매매 등으로 소유권을 취득하여 임대하는 주택은 매입임대주택이다.

 

 

 

Posted by 메신져7
|

  해설은 ▶ 부분부터 마우스 긁어서 보세요 ~

 

 

1. 배관 내 유체의 마찰손실수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마찰손실수두는 관경에 반비례한다.

② 마찰손실수두는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③ 마찰손실수두는 중력가속도에 반비례한다.

④ 마찰손실수두는 배관의 길이에 비례한다.

⑤ 손실계수는 관 재료에 따라 다르다.

 

정답 ② 마찰손실수두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2. 급수설비계획에 있어서 고려하지 않아도 좋은 것은?

 

① 사용목적과 위생기구의 작도에 원활한 수압을 유지한다.

② 급수계통에 워터해머(water hammer)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③ 위생기구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한다.

④ 음료수에 오수의 침입, 역류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⑤ 건물용도에 따라 단관식과 복관식 중에서 적절한 배관방식을 선택한다.

 

정답 ⑤ 급수설비방식은 복관식을 하지 않는다. 복관식은 급탕이나 난방시 항상 따듯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인데, 급수배관은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3. 지하저수조의 물을 양수능력 1,200(ℓ/min)의 펌프로 높이가 63m(전양정)인 고가수조에 양수하고자 한다. 펌프 효율이 60%일 때, 이 펌프의 축마력은 얼마인가?

 

① 10마력(HP)

② 16.8마력(HP)

③ 28마력(HP)

④ 32마력(HP)

⑤ 36마력(HP)

 

정답 ③ 펌프의 축마력 = WQH / 4500E 그런데, 문제 조건상 리터 단위임. W=1이므로  1,000을 곱할필요 없이 바로 계산한다.

WQH / 4,500E = (1 X 1,200 X 63) / (4,500 X 0.6) = 28마력(HP)

 

 

 

 

 

4. 고가수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고가수조의 높이는 건축물 최상단의 급수전으로부터 상부 5m 이상의 위치를 수조의 고수위로 해야 한다.

② 고가수조 및 배관은 동결방지시설을 해야 한다.

③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급수관 이외에는 연결해서는 안된다.

④ 압력탱크방식의 급수방법시 가능한 한 건축물의 최상단에 압력탱크를 시설하여 하향식으로 급수해야 한다.

⑤ 청소 및 보수를 위하여 1개보다 2개 이상으로 구획하거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정답 ④ 압력탱크방식을 하향식으로 급수를 해야 할 필요는 없다. 압력탱크는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5. 건물 내의 급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가수조 방식은 단수시에도 일정량의 급수가 가능하다.

② 수도직결 방식은 기계실 및 옥상탱크가 불필요하고, 단수시에 급수가 불가능 하다.

③ 수도직결 방식은 설비비가 타 방식에 비해 저렴하고, 수도 본관의 압력에 따라 급수압력이 변한다.

④ 부스터 펌프에 의한 가압급수 방식은 토출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필요하다.

⑤ 고가수조 방식은 타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질오염의 가능성이 낮고, 급수압력의 변동이 작다.

 

정답 ⑤ 고가수조 방식은 수질오염 가능성이 가장 큰 편이다.

Posted by 메신져7
|

  해설은 ▶ 부분부터 마우스 긁어서 보세요 ~

 

 

1. 단열공법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적절치 못한 것은?

 

① 외단열 공법은 내단열 공법에 비해 단열효과가 우수하다.

② 외단열 공법은 내단열 공법에 비해 시공이 어렵다.

③ 외단열 공법은 내단열 공법에 비해 공사비가 비싸다.

④ 내단열 공법의 경우 결로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⑤ 한랭지 시공에는 외단열보다 내단열 공법이 적합하다.

 

정답 ⑤  한랭지의 경우 외기 자체를 외부에서 단열시키는 외단열 공법이 보다 적합하다.

 

 

 

 

 

2. 외벽의 소음방지 구조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① 벽체는 가급적 흡음률이 큰 재료를 쓴다.

② 재료는 밀실하고 무거운 것을 쓴다.

③ 벽체는 이중벽으로 한다.

④ 공기 누출(air infiltration)이 없도록 한다.

⑤ 안벽은 바름벽으로 한다.

 

정답 ① 음의 분류는 차음과 흡음으로 불 수 있다. 차음재료는 내부가 밀실하여 외부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는 것이고, 흡음재료는 보통 내부 재료로 사용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음 에너지를 감쇠하는 공극이나 요철을 표면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흠음률이 높은 재료는 내부소음을 흡음하는 것이지 외부소음을 방지하는 차음용이 아니다.

 

 

 

 

3. 다음 중 양면에 내열성이 우수한 두꺼운 종이를 밀착시켜 판으로 압축시킨 것으로 내벽이나 천장마감공사에 쉽게 부착할 수 있는 단열 및 방화용 마감은?

 

① 석면슬레이트 마감

② 석회미장 마감

③ 경질텍스 마감

④ 석고보드판 마감

⑤ 아스팔트 모르터 마감

 

정답 ④  석고보드(gypsum board)는 소석고를 주원료로 하여 톱밥ㆍ섬유ㆍ펄라이트 등을 혼합하고, 경웨 따라서는 발포제를 첨가하고 물로 반죽해서 풀상태로 만든 것을 2장의 시트 사이에 부어서 판상으로 굳힌 것을 말한다.

 

 

 

 

 

4. 다음 중 서로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챌판 - 계단

② 살대 - 천정

③ 달대 - 기둥

④ 문선 - 문

⑤ 울거미 - 문짝

 

▶ 정답 ③ 달대는 천장구조에 사용되므로 기둥과는 관계가 없다.

'6. 주택관리사 > 주택관리사 무료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원리] 투자자산  (0) 2010.05.14
[민법] 조건과 기한  (0) 2010.05.13
[관리실무] 회계관리  (0) 2010.05.12
[회계원리] 재고자산  (0) 2010.05.07
[민법] 무효와 취소  (0) 2010.05.06
Posted by 메신져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