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부분을 긁으시면 정답 및 해설이 있습니다.

 

 

 

1. 물권의 객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매도인 甲이 신축한 무허가건물은 매수인 乙에게 등기없이 점유만 이전되더라도 乙은 건물소유권을 취득한다.

② 매수한 입목을 특정하지 않고 한 명인방법에는 물권변동의 효력이 없다.

③ 구분등기를 하지 않는 한 1동의 건물 중 일부에 관한 소유권보존등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④ '입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등기된 수목의 집단은 토지와 별개로 저당권의 목적이 될 수 있다.

⑤ 甲이 임차한 乙의 토지에서 경작한 쪽파를 수확하지 않은 채 丙에게 매도한 경우, 丙이 명인방법을 갖추면 그 쪽파의

    소유권을 취득한다.

 

 

① 제186조에 의하여 법률행위(매매 등)에 의한 부동산물권변동은 등기하여야 효력이 발생한다.

② 입목법상 등기된 입목의 경우, 매매 등에 의하여 물권(입목의 소유권과 저당권의 변동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등기가 있어야 한다.

③ 구분건물이 아닌 단독건물 1동의 일부는 독립된 부동산이 아니므로 그 일부만을 소유권보존등기할 수 없다.

④ '입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등기된 입목은 토지와 별개의 독립된 부동산이므로 입목에 대한 독립된 소유권과 저당권의

    설정이 가능하다.

⑤ 농작물에 대한 소유권의 원시취득은 명인방법 없이 인정되나, 승계취득은 명인방법이 있어야 한다.

 

 

 

2. 물권의 본질,효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차인은 임차목적물 침해자에 대하여 소유자인 임대인의 물권적 청구권을 대위행사 할 수 있다.

② 소유자는 소유권을 방해할 염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 그 예방과 함께 손해배상의 담보를 청구 할 수 있다.

③ 점유권의 양도는 점유물의 인도로 그 효력이 생긴다.

④ 동일한 물건 위에 성질.범위.순위가 같은 물권이 동시에 성립하지 못한다.

⑤ 등기된 부동산임차권은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있다.

 

 

① 임대목적물의 사용권을 가지는 채권자인 임차인은 소유자인 임대인을 대위하여 물권적 청구권을 대위할 수 있는 것은

    채권자대위의 법리상 당연하다.

② 제214조 후단 : 소유권을 방해할 염려가 있는 행위를 하는 자에 대하여 그 예방이나 손해배상의 담보를 청구 할 수 있다.

③ 제188조 제1항

④ 일몰일권주의 원칙상 동일한 물건 위에 성질.범위.순위가 같은 물권이 동시에 성립하지 못한다.

⑤ 제621조 제2항

 

 

 

3. 물권의 객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물권의 객체는 원칙적으로 특정,독립한 물건이다.

② 용익물권은 토지나 건물의 일부 위에 설정 될 수 있다.

③ 1필의 토지 일부에 저당권을 설정할 수 없다.

④ 아파트분양권은 소유권의 객체가 될 수 없다.

⑤ 집합물 위에 재단저당이 성립한 후에 그 구성물의 변동이 있게 되면 특정성을 상실한다.

 

 

① 물권의 객체는 원칙적으로 특정된 독립한 '물건'이다. 민법에서 뭘건이란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을 말한다.

②③ 분필절차 없이 토지의 특정 일부분에 대하여 저당권을 설정할 수 없지만, 용익물권 즉 지역권, 지상권이나 전세권 등은

       설정할 수 있다. 우리 민법상 용익물권은 물건의 전부뿐만 아니라 물거느이 일부에 대하여도 성립하는 물권이다.

④ 소유자는 법률의 범위 내에서 '소유물'을 사용.수익.처분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소유권의 객체는 물건에 한하므로

    따라서 채권 등 권리에는 소유권이 성립하지 못한다.

⑤ 집합물 위의 물권에 있어서 그 구성부분에 변화가 생겨도 특정성을 잃지 않는다.

Posted by 메신져7
|

부분을 긁으시면 정답 및 해설이 있습니다.

 

 

 

1. 다음은 국제회계기준의 도입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틀린 설명은 어느 것인가?

 

① 우리나라 특유의 기업환경 등으로 그 경제적 실질이 달라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명백히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독자적인 회계처리기준을 제정한다.

② 세계적인 회계처리기준 단일화 추세에 적극 동참하게 되어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 회계투명성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것이다.

③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소재 사업장 또는 우리나라에서 영업하는 외국기업의 사업장에 대한 재무보고 비용을 감소시키게 될

    것이다.

④ 우리나라 기업의 재무제표와 외국기업의 재무제표 간의 비교가능성이 제고된다.

⑤ 국제자본시장에서 자본흐름의 장벽을 제거하고 국제자본시장 참여자의 기업에 대한 투자 및 신용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①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의 내용과 일치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다음의 설명들 중에서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를 위한 개념체계의 내용과 다른 것은 어느 것인가?

 

① 개념체계는 한국체택국제회계기준이 아니므로 특정한 측정과 공시에 관한 기준을 정하지 아니한다.

② 개념체계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상충되는 경우에는 개념체계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보다 우선한다.

③ 개념체계는 한국회계기준위원회가 관련 업무를 통해 축적한 경험을 기초로 수시로 개정될 것이다.

④ 개념체계는 재무제표의 작성자가 한국체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거나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이 미비한 거래에 대한

    회계처리를 하는 데 도움을 제공한다.

⑤ 개념체계는 재무제표의 이용자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재무제표에 포함된 정보를 해석하는 데 도움을 제공한다.

 

 

② 개념체계는 어떤 경우에도 특정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우선하지 아니한다.

 

 

 

3. 다음 중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를 위한 개념체계에서 논의되는 질적 특성과 그와 관련된 설명들이다. 틀린 설명은 언 것인가?

 

① 예측역할 : 정보 자체가 명백한 예측의 형태를 갖추어야만 예측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② 효약과 원가 간의 균형 : 정보의 유용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주된 질적 특성이라기 보다는 재무제표 표시와 관련된 임게치나

    판단기준으로 작용한다.

③ 신중성 : 불확실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추정에 필요한 판단을 하는 경우, 자산이나 수익이 과대평가되지 않고 부채나 비용이

    과소평가되지 않도록 상당한 정도의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말한다.

④ 비교가능성 : 유사한 거래나 그 밖의 사건의 재무적 영향을 측정하고 표시할 때 한 기업 내에서 그리고 당해 기업의 기간별로

    일관된 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며, 기업 간에도 일관된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⑤ 질적 특성 간의 균형 : 재무제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질적 특성 간에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질적

    특성의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하는 문제는 전문적 판단사항이다.

 

 

② 중요성에 대한 설명이다.

Posted by 메신져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