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평균 35명 자살한 대한민국
얼마전부터 TV 정규방송 및 인터넷 라디오 케이블TV 에서 많은 광고가 나오는 것중 하나는 자살방지 캠페인 내용인 것 같습니다. OECD 국가들의 자살률이 꾸준히 감소하는 반면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자살률이 급격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노인의 자살률 급증이 두드러지며 자살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가장 커서 경제적 여유 등 사회 경제적인 조건의 충족이 삶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얼마전부터 TV 정규방송 및 인터넷 라디오 케이블TV 에서 많은 광고가 나오는 것중 하나는 자살방지 캠페인 내용인 것 같습니다. OECD 국가들의 자살률이 꾸준히 감소하는 반면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자살률이 급격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노인의 자살률 급증이 두드러지며 자살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가장 커서 경제적 여유 등 사회 경제적인 조건의 충족이 삶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외국의 자살방지 포스터
통계개발원의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한국 국민중 자살에 의한 사망자 수는 1만 2천 858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지난10년간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에 이어서 자살이 4위를 차지하였으며 10년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사망
원인 이라고 하며 OECD 국가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남자는 인구 10만명당 32.0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
헝가리(36.3명)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였으며 여자는 13.2명으로 가장 높았다고 합니다.
전통적으로 자살률이 높아고 알려진 오스트리아, 필란드 등 꾸준히 감소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OECD 국가 가운데
상대적으로 낮은 자살률을 보이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자살률이 증가하기 시작해 최근에는 최고의 자살 국가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남녀 모두 연령이 많이 질수록 자살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60세 이상 인구의 자살률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2005년의 경우 초등학교 졸업 이하 학력의 자살률이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이들에 비해 남자의 경우 8배나 높아 사회적 불평등이 자살의 요인이 되고 있음 보여주고 있다
◇강도.강간 등 강력사건 급증 추세
1983년 이후 형법상 범죄의 발생건수는 28만5천건에서 2007년 84만5천건으로 거의 2.5배나 늘었다.
특히 살인사건은 1983년 518건에서 2007년 1천124건으로 급증했으며, 이 기간에 강도와 강간 사건은 각각 2배와 2.5배로 늘었다.
청소년 범죄자의 연령을 보면 12∼13세 소년이 2004년 이후 크게 늘고 14∼15세 청소년 비율도 2005년 이후 증가한 데 반해 18∼19세의 청소년 비율은 줄어 청소년 범죄의 저연령화가 관찰되고 있다.
2008년 사회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평가한 사람이 '안전하다'고 평가한 사람보다 훨씬 많았으며, 대부분은 앞으로 '더 위험해 질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사회안전 위험요인으로 '범죄 발생'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경제적 위험, 환경 오염 순이었다.
우리나라의 화재는 1980년대 중반까지 1만건 이내에서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000년대 들어 3만건을 넘어섰고 2008년에는 4만9천건에 이르렀다. 이처럼 화재가 급증한 데는 사회구조의 복잡.다변화와 에너지 사용 증가 때문으로 분석됐다.
지난 10년간 화재는 대부분 건축물에서 발생했으며 건축물 중에서는 일반주택, 공동주택, 음식점 순으로 호재 발생이 많았다. 지난 10년간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연평균 2천420명(사망 515명, 부상 1천905명), 재산피해는 연평균 1천883억5천400만원이었다.
통계개발원의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한국 국민중 자살에 의한 사망자 수는 1만 2천 858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지난10년간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에 이어서 자살이 4위를 차지하였으며 10년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사망
원인 이라고 하며 OECD 국가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남자는 인구 10만명당 32.0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
헝가리(36.3명)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였으며 여자는 13.2명으로 가장 높았다고 합니다.
전통적으로 자살률이 높아고 알려진 오스트리아, 필란드 등 꾸준히 감소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OECD 국가 가운데
상대적으로 낮은 자살률을 보이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자살률이 증가하기 시작해 최근에는 최고의 자살 국가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남녀 모두 연령이 많이 질수록 자살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60세 이상 인구의 자살률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2005년의 경우 초등학교 졸업 이하 학력의 자살률이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이들에 비해 남자의 경우 8배나 높아 사회적 불평등이 자살의 요인이 되고 있음 보여주고 있다
◇강도.강간 등 강력사건 급증 추세
1983년 이후 형법상 범죄의 발생건수는 28만5천건에서 2007년 84만5천건으로 거의 2.5배나 늘었다.
특히 살인사건은 1983년 518건에서 2007년 1천124건으로 급증했으며, 이 기간에 강도와 강간 사건은 각각 2배와 2.5배로 늘었다.
청소년 범죄자의 연령을 보면 12∼13세 소년이 2004년 이후 크게 늘고 14∼15세 청소년 비율도 2005년 이후 증가한 데 반해 18∼19세의 청소년 비율은 줄어 청소년 범죄의 저연령화가 관찰되고 있다.
2008년 사회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평가한 사람이 '안전하다'고 평가한 사람보다 훨씬 많았으며, 대부분은 앞으로 '더 위험해 질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사회안전 위험요인으로 '범죄 발생'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경제적 위험, 환경 오염 순이었다.
우리나라의 화재는 1980년대 중반까지 1만건 이내에서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000년대 들어 3만건을 넘어섰고 2008년에는 4만9천건에 이르렀다. 이처럼 화재가 급증한 데는 사회구조의 복잡.다변화와 에너지 사용 증가 때문으로 분석됐다.
지난 10년간 화재는 대부분 건축물에서 발생했으며 건축물 중에서는 일반주택, 공동주택, 음식점 순으로 호재 발생이 많았다. 지난 10년간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연평균 2천420명(사망 515명, 부상 1천905명), 재산피해는 연평균 1천883억5천400만원이었다.
'7. 유머, 생활정보, 이슈 > 실시간 HOT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수빈 미니스커트 '눈길' (0) | 2010.08.18 |
---|---|
이휘재 장가가요, 결혼날짜 확정 (0) | 2010.08.18 |
시청자도'두근두근' 황정음-주상욱 무릅베개 (0) | 2010.08.18 |
'아이폰4' 16기가바이트(GB) 출고가 81만4천원 (0) | 2010.08.17 |
다리베게란? (0) | 201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