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은 ▶ 부분부터 마우스 긁어서 보세요 ~
1. 다음 중 중개실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중개대상물확인, 설명서 작성 및 교부
② 현장 확인
③ 계약 이행여부 확인
④ 계약서 작성 및 교부
⑤ 중개의뢰 접수
▶ ③ 계약이행에 대한 확인은 중개업자의 의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중개실무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2. 다음 중개실무의 법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개계약으로부터 중개행위에 의한 중개완성까지의 중개업자의 중개업무 일체를 말한다.
② 중개실무에는 중도금이나 잔금이 제대로 교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계약이행 확인업무까지 포함된다.
③ 중개완성은 중개행위로 인한 거래당사자들의 거래계약을 뜻한다.
④ 중개계약은 중개실무 중 법률행위에 속한다.
⑤ 중개완성 이후에도 선관주의 의무로서 권리관계 설정 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② 계약이행에 대한 확인은 중개업자의 의무에 해당하지는 않으므로 중개실무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3. 다음 중 부동산중개의 3요소를 바르게 묶은 것은?
① 권리분석, 중개수수료, 중개대상물
② 중개업자, 중개의뢰인, 중개사무소
③ 중개업자, 중개의뢰인, 중개대상물
④ 중개업자, 중개수수료, 중개대상물
⑤ 권리분석, 중개의뢰인, 중개대상물
▶ ③ 부동산중개의 3요소 : 중개업자, 중개의뢰인, 중개대상물
4. 중개실무 과정으로 적절하다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모든 중개활동은 원칙적으로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거래신고에 관한 법률'상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② 권리를 이전하는 중개의뢰인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③ 거래당사자뿐만 아니라 제3자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④ 부당한 이익이나 특정인에게 손해가 나지 않도록 힘쓰며 사회발전을 고려해야 한다.
⑤ 거래당사자간에 원만한 인간관계가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② 권리를 이전하는 중개의뢰인뿐만 아니라 권리를 취득하는 중개의뢰인의 이익도 고려하여야 하므로 항상 공정하게
중개를 하여야 한다.
5. 다음 중 우리나라 부동산중개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우리나라 부동산중개계약은 일반중개계약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② 우리나라 부동산중개는 민법보다는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거래신고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많이 받는다.
③ 우리나라 부동산중개계약의 형태는 서면계약보다는 구두계약이 주류를 이룬다.
④ 우리나라 부동산중개계약은 쌍방적 중개계약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⑤ 우리나라 부동산중개는 민사중개에 해당한다.
▶ ④ 우리나라 부동산중개계약은 일방적 중개계약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5. 공인중개사 > 공인중개사 무료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중개사 자격증 시험 자료 - 부동산공법 (0) | 2010.07.01 |
---|---|
공인중개사 자격증 시험 자료-[[세법]] 등록세(2) (0) | 2010.06.29 |
공인중개사 자격증 시험 자료-[[공시법]] 지적공부(2) (0) | 2010.06.25 |
공인중개사 자격증 시험 자료-[[법령 및 중개]] 벌칙 (0) | 2010.06.24 |
공인중개사 자격증 시험 자료-[[민법]] 담보물권(1) (0) | 2010.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