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설은 ▶ 부분부터 마우스 긁어서 보세요 ~

 

 

1. 다음 중 중개실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중개대상물확인, 설명서 작성 및 교부

② 현장 확인

③ 계약 이행여부 확인

④ 계약서 작성 및 교부

⑤ 중개의뢰 접수

 

 

▶ ③ 계약이행에 대한 확인은 중개업자의 의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중개실무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2. 다음 중개실무의 법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개계약으로부터 중개행위에 의한 중개완성까지의 중개업자의 중개업무 일체를 말한다.

② 중개실무에는 중도금이나 잔금이 제대로 교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계약이행 확인업무까지 포함된다.

③ 중개완성은 중개행위로 인한 거래당사자들의 거래계약을 뜻한다.

④ 중개계약은 중개실무 중 법률행위에 속한다.

⑤ 중개완성 이후에도 선관주의 의무로서 권리관계 설정 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② 계약이행에 대한 확인은 중개업자의 의무에 해당하지는 않으므로 중개실무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3. 다음 중 부동산중개의 3요소를 바르게 묶은 것은?

 

① 권리분석, 중개수수료, 중개대상물

② 중개업자, 중개의뢰인, 중개사무소

③ 중개업자, 중개의뢰인, 중개대상물

④ 중개업자, 중개수수료, 중개대상물

⑤ 권리분석, 중개의뢰인, 중개대상물

 

 

▶ ③ 부동산중개의 3요소 : 중개업자, 중개의뢰인, 중개대상물

 

 

 

4. 중개실무 과정으로 적절하다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모든  중개활동은 원칙적으로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거래신고에 관한 법률'상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② 권리를 이전하는 중개의뢰인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③ 거래당사자뿐만 아니라 제3자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④ 부당한 이익이나 특정인에게 손해가 나지 않도록 힘쓰며 사회발전을 고려해야 한다.

⑤ 거래당사자간에 원만한 인간관계가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② 권리를 이전하는 중개의뢰인뿐만 아니라 권리를 취득하는 중개의뢰인의 이익도 고려하여야 하므로 항상 공정하게

        중개를 하여야 한다.

 

 

 

5. 다음 중 우리나라 부동산중개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우리나라 부동산중개계약은 일반중개계약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② 우리나라 부동산중개는 민법보다는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거래신고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많이 받는다.

③ 우리나라 부동산중개계약의 형태는 서면계약보다는 구두계약이 주류를 이룬다.

④ 우리나라 부동산중개계약은 쌍방적 중개계약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⑤ 우리나라 부동산중개는 민사중개에 해당한다.

 

 

▶ ④ 우리나라 부동산중개계약은 일방적 중개계약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Posted by 메신져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