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6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3. 학점은행제 알아보기/건강가정사'에 해당되는 글 61건

  1. 2010.05.11 [건강가정사]건강가정사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건강가정사의 역할

 

건강가정기본법은 제1조에서 ‘건강한 가정생활의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국민의 권리 및 의무와 국가 및 비장자치

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가정문제의 적절한 해결방안을 강구하며 가족 구성원의 복지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강화함으로써 건강가정 구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건강가정사의 역할을 건강가정기본법의 기본이념과 목적을 근거로 보면 그림 4-3과 같이 규정할 수 있다.

건강가정사는 건강가정기본법이 지향하는 철학과 이념의 실천자이자,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자, 건강가정지원센터

조직의 운영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건강가정사의 역할은 무엇보다도 건강가정기본번의 철학과 이념을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반 지식과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건강가정기본법의 목적에 부합되기 위해서 건강가정사는 가정기능의 강화, 가정의 잠재력 개발, 가족공동체 문화의 조성,

다양한 형태의 가정의 욕구 충족, 가정과 사회의 통합 등을 위한 교육과 상담, 문화형성의 역할을 하여 가정의 유지와 발전을

도모하며 건강한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다.

건강가정사는 가정에 대한 미시적·거시적 관점을 통합할 수 있는 역량과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관점을 구체적인 사업

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응용능력과 창의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건강가정사는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조직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경영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건강가정기본법 제35조에 의하면, 프로그램 개발과 문화운동 전개, 관련정보 등을 위해

시, 군, 구에 두도록 되어 있으므로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사업관련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의 중심역할을 해야 한다.

건강가정사는 전국적인 조직체계를 유기적인 맥락에서 이해하고 자신이 소속된 지역에서 건강관련정책을 개발하고 수립하는 등

 전반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건강가정사업을 총괄할 수 있어야 한다.

 

건강가정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강가정사의 역할을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문제 예방을 위한 상담과 교육

건강가정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가족문화운동의 전개

 

구체적인 역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정문제의 예방 상담 및 개선

건강가정의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건강가정교육(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관계교육을 포함)

가정생활문화운동의 전개

가정 관련 정보 및 자료 제공

가정에 대한 방문 및 실태 파악

가족보호 전문기관 등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

그 밖에 건강가정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활동

Posted by 메신져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