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6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이 부분을 긁으면 정답과 해설이 있습니다~

 

 

 

1.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 또는 생산과 직접 관련되는 차입원가는 당해 자산 원가의 일부를 구성한다. 다음 중 자산의 원가에 산입할 수 있는 항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채발행자금상각액

② 사채발행비

③ 차입금과 직접 관련하여 발생한 수수료

④ 리스이용자의 운용리스비용

⑤ 외화차입금과 관련되는 외환차이 중 이자원가의 조정으로 볼 수 있는 부분

 

정답 ④

사채발행비는 사채발행가액에서 차감하므로 사채발행차금 상각액과 동일한 것이므로 자본화할 차입원가에 해당된다. 운용리스비용은 차입원가가 아니므로 자본화대상 차입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2. 차입원가의 자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적격자산은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거나 판매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는 자산을 말한다.

②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 또는 생산과 직접 관련된 차입원가는 당해 자산 원가의 일부로 자본화하여야 한다.

③ 적격자산에 대한 지출액은 현금의 지급, 다른 자산의 제공 또는 이자부 부채의 발생 등에 따른 지출액을 의미하며, 적격자산과 관련하여 수취하는 정부보조금과 건설 등의 진행에 따라 수취하는 금액은 적격자산에 대한 지출액에 가산한다.

④ 적격자산을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거나 판매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필요한 대부분의 활동이 완료된 시점에 차입원가의 자본화를 종료한다.

⑤ 적격자산의 건설활동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완성하고, 남아있는 부분의 건설활동을 계속 진행하고 있더라도 이미 완성된 부분이 사용가능하다면, 당해 부분을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거나 판매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활동을 완료한 시점에 차입원가의 자본화를 종료한다.

 

정답 ③

정부보조금과 건설 등의 진행에 따라 수취하는 금액은 적격자산에 대한 지출액에서 차감한다.

 

 

 

 

3. 금융비용을 자본화하는 목적과 가장 관련이 깊은 회계개념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보수주의 

② 중요성

③ 비교가능성

④ 일관성

⑤ 수익ㆍ비용의 대응

 

정답 ⑤

금융비용의 자본화는 수익ㆍ비용의 대응원칙에 따른 회계개념이다.

 

출처 : Daum Cafe - 공인중개사, 주택관리사 시험연구회

Posted by 메신져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