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6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이 부분을 긁으면 정답과 해설이 있습니다~

 

 

1. 다음 중 전환증권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발행가액을 일반사채에 해당하는 부채부분과 전환권에 해당하는 자본부분으로 분리하여

    자본부분의 가치를 전환권대가로 인식한다.

② 전환권대가는 당해 전환사채의 발행가액에 전환권이 없는 일반사채의 공정가액을 차감하여 계산한다.

③ 전환권조정은 당해 전환사채의 액면가액에서 차감하고, 사채상환할증금은 당해 전환사채의 액면가액에 부가한다.

④ 전환권대기는 자본항목으로 분류한 후에 전환권이 행사되어 추가로 주식을 발행하는 시점에 주식발행초과금으로 대체한다.

⑤ 전환권행사시 주식의 발행가액은 전환사채 또는 발행주식의 시가로 하고 전환사채의 장부가액과의 차액은 전환손익으로 인식

    한다.

 

정답 ⑤

전환권행사시 주식의 발행금은 전환권대가에 전환사채의 장부금액을 가산한 금액으로 하며, 전환손익은 인식하지 않는다.

 

 

 

 

2. 甲회사는 2003년 1월 1일 액면금액 \2,000,000, 액면이자율이 10%, 3년 후에 만기가 도래하는 전환사채를 \2,100,000에 발행하였다. 이 전환사채와 유사하며 전환권이 없는 乙회사 사채의 유효이자율은 14%이다. 전환사채의 현금흐름을 유효이자율로 할인한 가액이 \1,750,000이다. 전환권대가는?

 

① \100,000

② \150,000

③ \250,000

④ \350,000

 

정답 ④

전환권대가 : 2,100,000 - 1,750,000 = \350,000

 

 

 

 

 

3. 다음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에 의하여 인식한다.

② 사채상환할증금이 있는 경우 만기 상환시에는 사채상환손익이 발생된다.

③ 전환권이 행사되거나 신주인수권이 행사되면 주당순이익이 희석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④ 전환사채의 전환시는 별도의 출자가 필요하지 않으나,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행사시는 별도의 출자가 필요하다.

⑤ 전환사채의 전환권 행사시 전환사채는 소멸하나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행사시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소멸하지 않는다.

 

정답 ②

사채상환할증금이 있는 경우에도 상환손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출처 : Daum Cafe - 공인중개사, 주택관리사 시험연구회


'6. 주택관리사 > 주택관리사 무료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편 5장 조직 및 인사관리  (0) 2010.10.01
2편 6장 소방 및 가스설비  (0) 2010.09.29
3편 3장 계약각론  (0) 2010.09.17
1편 4장 사무관리 개관  (0) 2010.09.15
2편 주택법  (0) 2010.09.13
Posted by 메신져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