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6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설은 ▶ 부분부터 마우스 긁어서 보세요 ~

 

 

1. 다음 중 모두가 지저공부로 나열된 것은?

① 토지대장, 지적도, 임야대장, 임야도, 경계점좌표등록부, 대지권등록부

② 토지대장, 등기부, 등기필증등본, 임야대장, 임야도, 공유지연명부

③ 토지대장, 등기부, 등기필증등본, 경계점좌표등록부, 지적파일

④ 토지대장, 임야도, 경계점좌표등록부, 면적측정부, 지적측량원도

⑤ 지적도, 임야도, 등기부, 등기필증등본, 지적도

 

 

 

 

 

2.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토지대장에 등록하는 토지의 고유번호는 행정구역, 지번, 지목 등을 코드화하여 전체 19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② 공유지연명부의 등록사항으로는 토지의 소재, 지번, 소유권지분, 토지의 고유번호 등이 있다.

③ 경계점좌표등록부를 비치하는 지역의 지적도면에는 좌표에 의하여 계산된 경계점간의 거리를 등록한다.

④ 지적도면에는 건축물 및 구조물 등의 위치를 등록한다.

⑤ 경계점좌표등록부를 비치하는 지역안의 지적도에는 도면의 제명 끝에 '좌표'라고 표시하고,

    도곽선의 오른쪽 아래 끝에 ' 이도면에 의하여 측량을 할 수 없음' 이라고 기재하여야 한다.

 

 

 

 

 

3.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의 등록사항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된 대지권 비율은 집합건물등기부를 정리하는 기준이 된다.

②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된 경계는 모든 지적측량의 기준이 된다.

③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된 소유자가 변경된 날은 부동산등기부의 등기원인일을 정리하는 기준이 된다.

④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된 개별공시지가는 지적공부정리신청수수료의 기준이 된다.

⑤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된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면적은 부동산등기부의 표제부에 토지의 표시사항을 기재하는 기준이 된다.

 

 

 

  ①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는 대지권 비율이 등록되지 아니한다.

  ②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는 경게가 등록되지 아니한다.

  ③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된 소유자가 변경된 날은 일반적으로 등기접수일자를 기재한다.

  ④ 지적공부정리신청수수료는 토지이동에 따라 수수료가 산정되므로 개별공시지가와는 관련이 없다.

 

 

 

4. 다음 중 대지권 등록부의 등록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면적

② 지번

③ 대지권 비율

④ 소유자의 성명

⑤ 소유자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일반적인 기재사항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사항 

1. 토지의 소재

1. 토지의 고유번호 
2. 지번 2. 전유부분의 건물표시 
3. 대지권 비율  3. 건물명칭 
4. 소유자으 성명 또는 명칭,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  4. 집합건물별 대지권등록부의 장번호 
  5. 토지소유자가 변경된 날과 그 원인 
  6. 소유권 지분 
 대지권등록부에는 지목, 면적, 좌표, 축척 등은 등록되지 아니한다.  대지권등록부에는 지목, 면적, 좌표, 축척 등은 등록되지 아니한다.

 

 

 

 

5. 부동산 중개업자 갑이 매도의뢰 대상토지의 매수의뢰인 을에게 중개하기위하여 해당 지적도등본의

    등록사항을 보고 설명할 수 없는 것은?

 

① 지번에 관한 사항

② 소유자에 관한 사항

③ 지목에 관한 사항

④ 경계에 관한 사항

⑤ 토지의 소유에 관한 사항

 

 

 

 

 ▶

Posted by 메신져7
|